1. 한 줄 요약
SKC는 2차전지용 동박을 중심으로 고부가 소재 사업에 집중하는 친환경 소재 전문기업으로, 글로벌 배터리 밸류체인의 핵심 공급사로 평가된다.
2. 회사 소개
SKC는 원래 필름 제조로 시작했지만,
현재는 **2차전지용 동박(Li보일 Copper Foil)**을 주력으로 하는
친환경 고부가 소재 전문기업으로 체질을 전환했다.
주요 자회사인 SK넥실리스를 통해
국내외 배터리 고객사(CATL, 파나소닉, 삼성SDI 등)에 동박을 공급하고 있으며,
유럽·말레이시아·북미에 글로벌 동박 생산기지를 확보하며
공급망을 빠르게 확장 중이다.
3. 사업구조 한눈에 보기
사업 부문 | 설명 |
동박사업 | 2차전지 음극재용 동박 생산. SK넥실리스 운영 |
필름사업 | PET 필름, 전자재료용 산업 필름 생산 |
친환경소재 | 바이오플라스틱, 탄소절감 소재 등 신사업 확장 중 |
글로벌확장 | 폴란드·말레이시아·북미 등 해외 CAPA 확대 |
탈탄소전략 | 친환경 공정 도입, 탄소배출 저감 기술 투자 |
4. 돈 버는 구조
- 동박이 전체 매출 60~70% 차지, 수익성 핵심 부문
- 글로벌 2차전지 수요 증가 → 공급 확대 직접 수혜
- 설비 확장 투자 크지만 중장기 수익성 기대 큼
- 고객사와 장기 공급계약 중심 → 매출 안정적
5. 최근 2년 재무제표 비교 (연결 기준)
항목 | 2023년 | 2024년 | 증감률 |
매출액 | 2조 5,413억 원 | 2조 8,009억 원 | ▲ +10.2% |
영업이익 | 1,321억 원 | 1,809억 원 | ▲ +36.9% |
당기순이익 | 984억 원 | 1,448억 원 | ▲ +47.1% |
📌 해석:
2024년은 해외 동박 공장 가동 본격화 + 글로벌 고객사 수주 증가로
실적이 본격적으로 회복된 해로 평가됨.
6. 최근 이슈
- ✅ 말레이시아·폴란드 공장 생산 가동 시작
→ 글로벌 배터리사 대응 강화 - ✅ SK넥실리스, 파나소닉·삼성SDI 장기 계약 체결
→ 안정적 CAPA 소화 구조 - ✅ 탄소저감 소재 기술 특허 등록
→ ESG 경영 강화 - ✅ 필름사업은 고기능 제품 위주로 구조조정 중
7. 향후 성장 포인트
- 2차전지 동박 수요 폭증 → 글로벌 CAPA 확대 효과
- 고부가·친환경 공정 전환 통한 원가 경쟁력 확보
- SK그룹 계열 시너지 통한 밸류체인 내재화
- 동박 단가 회복 시 수익성 레버리지 확대 가능